[뉴스초점] 러, 키예프 포위 공격…우크라, 수도방위 총력전<br /><br /><br />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 동시다발 공격을 가하며 진군을 계속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키예프 함락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다른 한 편에서는 협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격전으로 치닫는 우크라이나 사태 전문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두진호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 자리해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 남쪽 29㎞ 바실키프 지역에서 격렬한 교전이 보고됐다고 CNN이 보도했습니다. 러시아군은 앞서 북쪽과 동쪽에서도 키예프를 둘러싸고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데요. 수도가 곧 함락될 가능성이 있는 겁니까?<br /><br /> 다만 미국 국방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러시아의 공세가 우크라이나의 저항 때문에 예상외로 무뎌졌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현재 러시아군은 8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하는데 우크라이나의 무력 대응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정부는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 방안을 협상하기 위한 회담을 추진했으나 회담장을 두고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·정전 협상을 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. 회담이 성사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요인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다른 정체성 배경도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.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러시아가 만든 땅이라고 하는 반면, 우크라이나는 주권과 정체성을 가진 다른 국가라고 주장합니다. 우리가 이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서방 국가들은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정권 전복, 괴뢰정권 수립을 계획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. 수도 키예프가 함락되면 이후 러시아가 친러 정권을 수립하게 될까요? 러시아의 최종 목표를 뭐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. 2014년 3월 러시아가 무력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로부터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사건이죠. 당시와 판박이라는 평가에 대해선 동의하십니까?<br /><br /> 이번 사태를 계기로 러시아의 미국 패권주의 도전을 본격화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러시아의 침공을 막기 위해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끈질긴 외교전을 펼쳤지만 중국은 일방적으로 러시아의 편을 든 것으로 확인됐는데요. 러시아와 중국의 연대도 더욱 강화될까요?<br /><br />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명령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. 한 나라의 최고지도자를 제재한 것은 이례적인 일 아닌가요, 서방국가의 경제제재와 더불어 효과는 얼마나 있으리라 보십니까?<br /><br />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오늘 오전 통화를 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했습니다. 앞서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제재에 동참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. 우리 정부의 대응과 과제는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